@Alex
Just another ordinary payroller.

[1] 파이썬의 기본 개념들

1. 객체와 자료형 파이썬에서는 메모리에 저장된 모든 데이터를 객체(object)라는 개념으로 처리한다. 자료형(data type)은 그러한 객체가 어떤 값(value)을 가지고, 어떤 행위(operation)를 할 수 있는지 정의한다. 예컨대 파이썬 인터프리터가 1, 2와 같은 정수 리터럴(literal)을 맞닥뜨리면, 파이썬은 이들을 int 객체로 변…


[2] 파이썬과 변수

1. 변수의 이름 변수의 이름을 짓는 규칙은 다음과 같다. 그 변수의 의미와 기능을 가장 짧게 표현할 수 있어야 한다. 알파벳, 숫자 및 언더스코어를 사용한다. 숫자로 시작할 수 없다. 중간에 빈칸을 넣을 수 없다. 기호를 사용할 수 없다. 대소문자를 구분한다. 파이썬에서 이미 용도가 정해진 단어들을 사용하지 않는다. 헷갈리기 쉬운 글자의 사용을 자제한다…


파이썬 포매터 : Black

June 10, 2022

포매터 사용법 (formatter) 포매터 black을 사용하면 띄어쓰기와 같은 사소한 규칙들은 무시하고 코드의 내용에 집중할 수 있다. 또한, 코드 스타일을 통일시키므로 가독성과 생산성이 증진된다. 포매터 설치 방법 터미널에서 으로 간단하게 설치할 수 있다. 그 후에 VSCode의 설정 화면에서 python formatting provider를 Blac…


[B4375] 1

March 29, 2022

1. 문제 설명 2와 5로 나누어 떨어지지 않는 정수 n이 주어졌을 때, 1로만 이루어진 n의 배수(e.g., 1, 11, 111...)를 찾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여 그 중 가장 작은 수의 자리수를 출력하시오. 2. 제약 조건 2와 5로 나누어 떨어지지 않는 정수 은 을 만족한다. 각 테스트 케이스는 한 줄로 이루어져 있다. 3. 접근 3-1. 정답이 반드…


HTML의 기초

March 27, 2022

1. HTML이란? HTML은 Hypertext Markup Language의 약자로, 웹 페이지의 구조를 결정한다. HTML을 구성하는 기본 단위는 태그로, HTML에서 사용할 수 있는 태그들은 이미 정의되어 있다 예컨대 태그는 닫는 태그 가 나오기 전까지 텍스트를 크고 두껍게 강조한다. 이처럼 대부분의 HTML 태그는 아래와 같이 사용되고, 이 묶음…


[L543] Diameter of Binary Tree

May 01, 2021

1. 문제 설명 트리의 루트 노드가 주어지면 트리의 지름을 반환하시오. (단, 트리의 지름은 두 노드 간 가장 긴 경로를 뜻한다.) 2. 제약 조건 한 트리에 있는 노드의 개수는 0개 이상 개 이하다. 노드의 값은 이상 이하다. 3. 접근 트리의 지름은 정의상 어떤 리프 노드에서 다른 리프 노드까지의 경로일 수밖에 없다. 만약 어떤 지름이 리프 노드…


[L617] Merge Two Binary Trees

May 01, 2021

1. 문제 설명 두 이진 트리의 root1과 root2가 주어지면 이 둘을 병합하시오. (단, 겹치는 노드가 있으면 그 둘의 합을 새로운 노드로 한다.) 2. 제약 조건 병합은 트리의 루트에서부터 이루어져야 한다. 한 트리에 있는 노드의 개수는 0개 이상 2000개 이하다. 노드의 값은 이상 이하다. 3. 접근 재귀적으로 트리를 DFS 순회하되, 매…


[L234] Palindrome Linked List

April 30, 2021

1. 문제 설명 주어진 일방향 링크드 리스트가 팰린드롬인지 판별하시오. 2. 제약 조건 리스트 내 노드의 개수는 1개부터 개까지 존재한다. 한 노드의 값은 0부터 9까지다. (선택) 시간 복잡도 O(n), 공간 복잡도 O(1)으로 해결해야 한다. 3. 접근 9. Palindrome Number와 비슷한 문제지만, 접근 방식이 조금 달라져야 한다. 리스트…


나머지(Modular) 연산 및 유용한 정리

November 29, 2020

나머지(Moular) 연산 문제에서 종종 ‘정답을 특정 수로 나눈 나머지는 무엇인가’라는 표현을 찾아볼 수 있다. 이는 자료형(e.g., int, long long etc)이 저장할 수 있는 범위가 한정되어 있기 때문이다. 즉, 너무 긴 자리의 연산을 시키지 않도록 하기 위해 나머지 값만 물어보는 것이다. 핵심은 정답을 다 구하고 나머지 연산을 수행하는 …